스몸비 춤으로 풀어낸 스마트폰 중독

Last Updated :

스몸비 춤으로 풀어낸 스마트폰 중독

2025년 4월 5일 토요일 오후 4시, 인천 동구문화체육센터 공연장에서는 인천시립무용단의 기획 창작공연이 성황리에 펼쳐졌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민들이 객석을 가득 메우며 이번 공연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스몸비,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

이번 공연의 제목인 '스몸비(Smombie)'는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로, 스마트폰에 몰입해 주변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단어다. 인천시립무용단은 이 공연을 통해 스마트폰에 갇힌 우리의 일상을 무용이라는 예술 언어로 풀어내며, 모바일에 익숙해진 삶 속에서 일상의 행복과 감정의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무대 위에서 조명했다.

3장으로 구성된 공연의 전개

  1. 스몸비: 흔들리는 대중교통 안에서도 스마트폰에 집중하느라 비틀거리며 움직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기술에 의존하는 현대인의 삶을 직관적으로 보여주었다.
  2. 어플리케이션: 인간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세상을 묘사했다. 카카오톡 채팅, 모바일 게임 등 현대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기술 요소들을 무용수들의 절도 있는 움직임으로 형상화하여 기술 통제 아래 놓인 현실을 표현했다.
  3. 허상과 일상: 스마트폰으로 인해 무뎌졌던 감정들이 다시 깨어나는 장면을 따뜻하게 그려내며 사람과 자연, 감정의 회복을 보여주어 공연의 깊은 여운을 남겼다.

현대인의 집중력 저하를 상징한 인상적인 장면

관람 중 가장 눈길을 끈 장면은 주인공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5~10초씩 듣다가 점점 짧게 넘어가는 부분이었다. 결국 1초만 듣고 다음 곡으로 넘어가며 "들을 게 없다"고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은 짧은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현대인의 집중력 저하와 감정 소모를 상징적으로 표현해 많은 관객의 공감을 얻었다.

정명훈 상임부안무자의 안무와 공연의 메시지

이번 공연은 정명훈 상임부안무자의 안무로 진행되었으며, 단순한 비판을 넘어 현대 사회 문제를 성찰하고 소통의 가치를 되새기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관객과 함께 공감하며 회복을 이야기하는 공연의 메시지는 더욱 깊은 의미로 다가왔다.

몸짓으로 전하는 진한 울림

95% 이상이 몸짓으로 이루어진 이번 공연은 말보다 더 강렬한 감동을 선사했다. 무용수들의 섬세한 움직임 하나하나가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공연이 끝난 후에도 무대에서 받은 메시지의 여운이 오래도록 관객의 마음에 남았다.

예술과 현실을 잇는 다리, 인천시립무용단

인천시립무용단의 이번 작품은 예술과 현실 사이에 다리를 놓는 의미 있는 시도로, 관객과 무대가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 없이 누구나 스몸비일 수 있다는 자각을 통해 우리의 삶을 다시 돌아보게 만들었다. 앞으로도 인천시립무용단의 다양한 기획 창작공연이 시민들과 깊이 공감하고 소통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공연 장소

동구문화체육센터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로110번길 5-8

스몸비 춤으로 풀어낸 스마트폰 중독
스몸비 춤으로 풀어낸 스마트폰 중독
스몸비 춤으로 풀어낸 스마트폰 중독 | 인천진 : https://incheonzine.com/386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인천진 © incheo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