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해넘이 해맞이 안전 수칙 필수!
연말연시 안전한 산행을 위한 주의사항
행정안전부는 연말연시 해넘이와 해맞이를 위한 안전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하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특히 늦은 오후나 이른 새벽에 산에 오르는 경우 실족 사고 등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통계에 따르면, 연말연시 2개월(12~1월) 동안에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1758건이며, 이 중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 날은 1월 1일입니다. 이 날에는 특히 해맞이 산행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등산 시 주의해야 할 사고 원인
연말연시 등산사고의 주요 원인은 실족과 조난사고입니다. 실족이 40%, 조난사고가 26%를 차지하며, 특히 1월 1일에는 실족이 37%를 차지한 뒤 신체질환이 28%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는 안전한 산행을 위해 체력 안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해맞이 산행을 할 경우에는 체력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산행 전 가벼운 체조로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어야 합니다.
-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는 얼어붙은 등산로에 대비하여 미끄럼 방지 장비를 챙깁니다.
- 체온 유지나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방한용품을 필수로 준비합니다.
체력 관리와 안전 장비 준비
해넘이와 해맞이에 따른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 장비 준비는 매우 중요합니다. 등산 전 충분한 준비 운동을 통해 근육을 풀고, 하산 시에도 체력을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해뜨기 직전 기온이 낮아져 동상과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여벌의 옷과 담요, 따뜻한 음료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모자와 장갑 등을 포함한 방한용품도 잊지 말고 챙겨야 합니다.
질병이 있는 경우의 주의사항
질병이 있는 등산객은 반드시 필요한 약을 챙기고 응급 상황에 대비해야 합니다. 산행 중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시 즉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저체온증 초기 증상인 떨림이나 창백한 피부, 청색증 등이 나타날 경우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 이상을 느낀다면 즉시 하산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조난 사고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
아는 길이라도 지나치게 집중하지 말고 주변을 살펴봅니다. | 눈이 쌓인 경우, 원근감이 떨어지므로 빠르게 길을 반환해야 합니다. | 등산로 위치표지판을 활용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자주 점검합니다. |
조난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잘 이해하고 스스로의 위치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무조건 되돌아가는 것이 안전하며, 국가지점번호를 미리 확인하여 위급 상황 시 본인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는 생명을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연말연시 공공 안전 관리 방안
행정안전부에서는 경찰청과 협력하여 연말연시 기간 동안 인파가 몰리는 행사에 경찰관을 배치할 예정입니다. 서울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행사에는 1500여 명의 경찰이 동원되어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교통 통제를 강화합니다. 이처럼 다수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관계기관의 협력이 필요하며, 주민들의 자율적인 안전 관리와 경각심도 필수입니다. 안전을 위해 공공 기관과 지역 주민이 함께 협력해야 합니다.
행정안전부 및 경찰청 정보
안전을 위한 문의는 행정안전부 및 경찰청에 연락하면 됩니다.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 예방안전제도과(044-205-4505)와 경찰청 경비국 대테러위기관리과(02-3150-2961)로 연락하시면 전문적인 상담과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관의 도움은 안전한 행사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역 주민과의 협력이 안전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료 출처 및 저작권 안내
자료는 정책브리핑을 통해 참고되었습니다.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단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니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기사를 이용할 때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하여야 하며, 저작권법 관련하여 위반 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안전한 자료 사용은 기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