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후보생 모집 졸업 후 중위 임관 기회!

Last Updated :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 소개

올해부터 처음으로 과학기술전문사관 석사 후보생 25명을 모집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모집은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선발된 후보생은 3학기 양성과정을 마친 후, 8주 동안 군사훈련을 받고 중위로 임관하여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에서 3년간 근무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장교로서 국방과학기술 분야에 기여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모집 일정 및 요건

모집 시작일은 오는 20일부터이며 지원 마감일은 2월 14일까지입니다. 지원 자격은 이공계 대학원 석사 과정 재학생 또는 복학 예정자입니다. 모집 계열은 기계·항공, 전기·전자·컴퓨터, 재료 및 화학 등이며 성별에 제한은 없습니다. 이런 다양성을 통해 폭넓은 인재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지원 가능 전공: 기계·항공, 전기·전자·컴퓨터, 화학 등 다양한 이공계 전공.
  • 지원자는 3월 1학기 재학생 또는 9월 2학기 복학 예정자여야 함.
  • 모집 기간: 1월부터 5월까지 석사 후보생 모집 및 8월부터 12월까지 학사 후보생 모집.

응시 절차 및 방법

제1기 과학기술전문사관 석사 후보생에 대한 지원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지원자는 과학기술전문사관 누리집을 통해 지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지원 기간 동안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원하여야 하며, 최종적으로 합격한 후보생들은 ADD에서 현장실습 교육을 받게 됩니다.

양성 과정 및 의무 복무

선발된 후보생은 양성과정을 통해 국방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학위를 취득 후에는 군사훈련을 통해 연구개발 장교로 임관하게 됩니다. 이후 3년간 국방연구개발 기관에서 복무하며 실무 경험을 쌓고, 장기적으로 국방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게 됩니다.

정부의 지원 및 방향성

국방과학기술 인재 양성 확대 예비 후보생에 대한 안정적인 지원 현역 장교 신분으로의 즉각적인 진출

정부는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를 통해 과학기술 인재들이 군 복무 중에도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방과학기술의 역량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인재들을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국방과학기술의 중요성

국방과학기술은 현대 전쟁의 양상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군사 작전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가 이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들을 군에 유입하게 하여, 다양한 기술 혁신을 실현하는 밑바탕이 될 것입니다.

지원자들의 기대와 다짐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으로 지원할 학생들은 국방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끌 전문가로 성장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국방과학기술 분야에서의 미래가치와 자신의 경로를 분명히 인식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목표의식이 그들의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문의 및 추가 정보

과학기술전문사관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관련 기관에 문의하거나, 과학기술전문사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락처 044-202-4839를 포함한 여러 연락처 정보가 있습니다. 또한, KAIST 과학기술전문사관지원센터에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 법령 및 저작권 안내

정책브리핑의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지침에 따라 저작권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진의 경우 저작권이 적용되므로, 반드시 출처를 표시해야 하며 위반 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석사 후보생 모집 졸업 후 중위 임관 기회!
석사 후보생 모집 졸업 후 중위 임관 기회! | 인천진 : https://incheonzine.com/3583
2025-01-10 4 2025-01-11 1 2025-01-12 2 2025-01-13 2 2025-01-17 1 2025-01-19 1 2025-01-24 1 2025-01-26 1 2025-01-27 1 2025-01-29 1 2025-02-01 1 2025-02-05 2
인기글
인천진 © incheo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