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기술개발 2조 7496억 원 투자 확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계획
정부는 내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올해보다 3.9% 늘어난 2조 7496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해 14개 관계부처 및 12개 지자체와 함께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023-2032)'의 일환으로, 앞으로 10년 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본격적인 협력이 시작됨에 따라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온실가스 감축 및 기술 개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는 재생에너지와 차세대 원자력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태양전지, 부유식 해상풍력, 혁신형 소형 모듈 원자로, 이차전지, 수소 생산 및 저장 기술 등 무탄소에너지원 기술 개발에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 재생에너지원 기술 개발 강화
- 바이오매스 기반 연료 및 제품 개발 촉진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고도화
기후변화 적응 기술 개발
기후변화 적응 분야에서는 농업과 생태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 정부는 생태계와 산림 등 기후 영향 평가를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며, 농업 생산 기반의 안전 관리와 식량 생산 안정성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혁신 생태계 조성
정부는 기후기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별 탄소중립체험관 운영 등을 통해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할 예정이다. 또한, 배터리 안정성 평가와 미래 원자력 기술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혁신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기후기술의 발전과 인력 양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기후기술 R&D 인력 양성
R&D 인력 양성 방법 | 세부사항 | 목표 |
국내·외 공동 연구 | 기후기술 기관 간 협력 | 글로벌 인력 양성 |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 산업 수요 반영 | 산업 현장 적합 인력 양성 |
이와 같은 기후기술 R&D 역량 강화를 통해 정부는 지속 가능한 기후기술 산업을 위한 인력 양성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기후기술의 발전을 이끌어낼 것이다.
범정부 협력 체계 구축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련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하는 기후기술 범정부 협의체를 운영한다. 이 협의체는 주기적으로 정보와 성과를 공유하여 탄소중립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문의 사항
자세한 사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전화: 044-202-4677)에게 문의하면 된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책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 점에서 모든 국민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결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의 기술 개발 계획은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다. 이와 함께 모든 관련 주체들이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